이지은님의 블로그
241223 - Git과 GitHub 버전 관리 및 협업 기초 본문
▷ 오늘 배운 것
오늘은 git과 git hub 수업을 들었다. 간단히 정리하면서 협업과정에서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고민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1. 리눅스 사용방법
pwd | 현재 위치 출력 |
cd | 현재 위치 옮김(cd .. :상위 위치로 옮김 / cd 파일명: 파일명 위치로 옮김) |
ls | 현재 위치에 있는 폴더 및 파일 출력 |
ls -a | 현재 위치에 있는 모든(보이지 않는 것 포함) 폴더 및 파일 출력 |
touch | 파일 작성 |
mkdir | 디렉토리를 만듦 |
2. git이란?
코드 변경점을 기록하는 용도, 버전관리도구(형상관리도구) -->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
github: 백업과 공유가 가능한 온라인 저장소이기 때문에 협업이 가능하다.
git init | 코드관리를 시작하는 명령어, 초기세팅, git으로 첫 관리 시작 .git폴더를 생성한다. 개발 프로젝트 시작시 딱 한번만 입력하며, 코드 변경을 추적할 수 있다. <주의> 현재 경로를 확인하고 git init할 것 |
git add . git commit -m "내용" |
코드를 저장하는 명령어 git add 파일명: 저장할 파일 지정 / git add . :모든 변경사항을 지정 git commit -m "내용": 저장 |
git status |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명령어 |
git log | 커밋 메세지로 코드 변경점 추측 가능 -> 저장 내역확인 가능 |
git push origin main | 깃허브 온라인 저장소를 만들어서 저장소에 내 코드를 터미널에 붙여넣기 하면 연결가능 이떄 코드 내용: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주소> : 주소를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지정 git branch -M main : 브랜치명을 main으로 바꿈 git push -u origin main: git push만 입력해도 푸시가 됨 |
git clone 주소 . | 깃허브에서 코드를 통째로 들고오고 싶을 때 현재 폴더안에 들고 오겠다는 뜻 |
git pull | 깃허브의 변경사항을 들고옴 만약 충돌이 일어난다면 수정 후 에드 커밋을 해서 푸시를 해야됨 |
▷ 앞으로
첫날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이제 깃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1. git을 설치 해볼 것이며
2. 받은 코드를 clone 및 방명록 코드를 작성해서 불러오기 할 수 있도록
연습해야할 것 같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226 - Firebase 연동 방명록 구현 (firebase 모듈, 이벤트 위임) (2) | 2024.12.26 |
---|---|
241224 - Firebase 연동 방명록 구현 (데이터베이스 세분화, 날짜 추적, ID 삽입 및 삭제 기능 구현) (0) | 2024.12.24 |
241220 -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풀이 탐구 (1) | 2024.12.20 |
241219 -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풀이 탐구(동전 교환, 회의실 배정) (0) | 2024.12.19 |
241218 - Java 단어맞추기, 가위바위보 구현과 오류 해결(Char형의 null) (2)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