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은님의 블로그
[JAVA] 코드카타 - (61)~(65) 본문
문제 (61)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 | 당첨 내용 |
1 |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
2 | 5개 번호가 일치 |
3 | 4개 번호가 일치 |
4 | 3개 번호가 일치 |
5 | 2개 번호가 일치 |
6(낙첨) | 그 외 |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당첨 번호 | 31 | 10 | 45 | 1 | 6 | 19 | 결과 |
최고 순위 번호 | 31 | 0→10 | 44 | 1 | 0→6 | 25 | 4개 번호 일치, 3등 |
최저 순위 번호 | 31 | 0→11 | 44 | 1 | 0→7 | 25 | 2개 번호 일치, 5등 |
•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lottos, int[] win_nums) {
int countMatch = 0;
int count0 = 0;
for (int lotto : lottos) {
if (lotto == 0) {
count0++;
}
for (int winNum : win_nums) {
if (lotto == winNum) {
countMatch++; break;
}
}
}
int minRank = Math.min(7 - countMatch, 6);
int maxRank = Math.max(minRank - count0, 1);
int[] answer = {maxRank, minRank};
return answer;
}
}
문제 (62) : 옹알이 (2)
머쓱이는 태어난 지 11개월 된 조카를 돌보고 있습니다. 조카는 아직 "aya", "ye", "woo", "ma" 네 가지 발음과 네 가지 발음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는 발음밖에 하지 못하고 연속해서 같은 발음을 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문자열 배열 babbl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의 조카가 발음할 수 있는 단어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3499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babbling) {
String[] can = {"aya", "ye", "woo", "ma"};
String[] cant = {"ayaaya", "yeye", "woowoo", "mama"};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babbling.length; i++) {
System.out.print(babbling[i] + " ");
for (String cantString : cant) {
if(babbling[i].contains(cantString)){
babbling[i] += "1";
}
}
for (String canString : can) {
babbling[i] = babbling[i].replace(canString, "0");
}
System.out.println(babbling[i]);
}
for(int i = 0; i < babbling.length; i++) {
babbling[i] = babbling[i].replace("0", "");
if (babbling[i].equals("")) count++;
}
return count;
}
}
문제 (63) : 숫자 짝꿍
두 정수 X, Y의 임의의 자리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k(0 ≤ k ≤ 9)들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를 두 수의 짝꿍이라 합니다(단,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중 서로 짝지을 수 있는 숫자만 사용합니다). X, Y의 짝꿍이 존재하지 않으면, 짝꿍은 -1입니다. X, Y의 짝꿍이 0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짝꿍은 0입니다.
예를 들어, X = 3403이고 Y = 13203이라면,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3, 0, 3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330입니다. 다른 예시로 X = 5525이고 Y = 1255이면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2, 5, 5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552입니다(X에는 5가 3개, Y에는 5가 2개 나타나므로 남는 5 한 개는 짝 지을 수 없습니다.)
두 정수 X, Y가 주어졌을 때, X, Y의 짝꿍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128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X, String Y) {
int[] xArray = new int[10];
int[] yArray = new int[10];
for (int i = 0; i<X.length(); i++)
xArray[Integer.parseInt(String.valueOf(X.charAt(i)))]++;
for (int i = 0; i<Y.length(); i++)
yArray[Integer.parseInt(String.valueOf(Y.charAt(i)))]++;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9; i >= 0; i--) {
int count = Math.min(xArray[i], yArray[i]);
for (int i1 = 0; i1 < count; i1++) {
result.append(i);
}
}
if (result.length() == 0) return "-1";
if (String.valueOf(result.charAt(0)).equals("0")) return "0";
return result.toString();
}
}
문제 (64) : 체육복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62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풀이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lost, int[] reserve) {
int result = n - lost.length;
for (int i = 0; i < lost.length; i++) {
for (int j = 0; j < reserve.length; j++) {
if (lost[i] == reserve[j]) {
result++;
lost[i] = -1;
reserve[j] = -1;
break;
}
}
}
Arrays.sort(lost);
Arrays.sort(reserve);
for (int i = 0; i < lost.length; i++) {
for (int j = 0; j < reserve.length; j++) {
if (lost[i] == reserve[j] - 1 || lost[i] == reserve[j] + 1) {
result++;
reserve[j] = -1;
break;
}
}
}
return result;
}
}
문제 (65) : 문자열 나누기
문자열 s가 입력되었을 때 다음 규칙을 따라서 이 문자열을 여러 문자열로 분해하려고 합니다.
- 먼저 첫 글자를 읽습니다. 이 글자를 x라고 합시다.
- 이제 이 문자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면서, x와 x가 아닌 다른 글자들이 나온 횟수를 각각 셉니다. 처음으로 두 횟수가 같아지는 순간 멈추고,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분리합니다.
- s에서 분리한 문자열을 빼고 남은 부분에 대해서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남은 부분이 없다면 종료합니다.
- 만약 두 횟수가 다른 상태에서 더 이상 읽을 글자가 없다면, 역시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분리하고, 종료합니다.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 과정과 같이 문자열들로 분해하고, 분해한 문자열의 개수를 return 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0108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풀이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 {
List<Character> list = new ArrayList<>();
for (char c : s.toCharArray()) {
list.add(c);
}
int result = 0;
while (!list.isEmpty()) {
char c = list.get(0);
int cCount = 1;
int aCount = 0;
int i = 1;
while (i < list.size()) {
Character character = list.get(i);
if (c == character) {
list.remove(i);
cCount++;
} else {
list.remove(i);
aCount++;
}
if (cCount == aCount || list.isEmpty()) {
break;
}
}
list.remove(0);
result++;
}
return result;
}
}
'알고리즘 공부 > [JAVA] 코드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코드카타 - (56)~(60) (1) | 2025.01.29 |
---|---|
[JAVA] 코드카타 - (51)~(55) (0) | 2025.01.23 |
[JAVA] 코드카타 - (46)~(50) (1) | 2025.01.22 |
[JAVA] 코드카타 - (41)~(45) (0) | 2025.01.17 |
[JAVA] 코드카타 - (36)~(40) (0) | 2025.01.14 |